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일반 도구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18.218.5.91
IP 사용자
설정
다크 테마로
라이트 테마로
로그인
최근 변경
더보기
이동
삭제
역사
ACL
BanG Dream!
(r42 문단 편집)
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
이 있습니다.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RAW 편집
=== 비라이브 밴드 홀대에 대한 논란 === 프로젝트 전반적으로 이른바 '비라이브 밴드'[* 성우들이 직접 악기를 연주하며 라이브를 진행하는 Poppin'Party, Roselia, Morfonica, RAISE A SUILEN을 라이브 밴드로 지칭하는데, 그에 반대되는 개념이다.]를 홀대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상당하다. 과거에는 단순히 특정 밴드 홀대 논란은 게임인 걸파를 중심으로 제기되는 경향이 강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정한 밴드에 대한 논란을 넘어서 비라이브 밴드 전체로 번진 것. 걸파 서비스 초창기에는 비라이브 밴드들도 그들 나름의 팬층을 쌓았는데, 예를 들어서 과거 헬로해피는 현재 걸파 프렌차이즈의 최고 인기를 자랑하는 로젤리아도 한 수 접었을 정도로 압도적인 인기를 자랑했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 2기가 미흡한 스토리와 설정 충돌, 분량 조절 실패 문제로 잡음이 일어났고, 동시에 걸파에서도 여러 논란 및 사고가 터지며 비라이브 밴드의 팬덤이 위기를 맞이했다. 거기에 20년 초 방영한 3기가 비라이브 유닛들을 대놓고 배제해버리기도[* 실질적으로 3기에서 애니메이션의 내용을 이끌어 나가는건 RAS와 로젤리아 두 밴드 뿐이다] 하고 모르포니카의 쿠라타 마시로를 담당한 성우 [[신도 아마네]]의 가창력 논란[* 신도 아마네의 가창력은 수차례의 라이브를 거치면서 가창력을 어느정도 입증하여 논란이 사라졌지만 이는 주로 라이브를 접해서 실력의 변화를 보아온 팬덤 중심의 의견이고 라이브를 잘 접하지 않는 팬덤에서는 여전히 과거의 사례로 비판적인 경우가 다수다.] 등이 더 크게 번지며 팬의 숫자가 감소하였다. 특히 이 이상으로 큰 문제는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라는 경쟁이 되는 게임의 출시로 인하여 유저들이 대거 이동하였다. 이러한 흐름은 프로젝트에도 큰 위기가 되었다.[* 그래도 뱅드림 성우 이벤트 최초로 7밴드 보컬 성우들이 전원 집합해 합동 무대를 가질 예정이었던(파스파레,앱글,헬로해피의 경우 보컬 성우만 참가)걸파티 2020의 개최를 통해 이전 미디어믹스의 실패를 만회하고 반동을 노리려고 시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위 이벤트는 2년 넘게 무기한 연기되다가 2022년 11월에 개최되게 되었다.] 사실 본질적으로 BanG Dream!는 성우와의 일체감 있는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전개하는 컨텐츠로서 기획되었다. 그래서 프로젝트 초창기부터 라이브 밴드를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전개되었기 때문에,[* 뱅드림의 주 캐치프레이즈는 캐릭터와 실사 밴드를 연동해 미디어믹스와 현실에서의 공연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비라이브 밴드는 이와는 동떨어진 부분이 많았기에 게임 출시 직후에도 외전 취급받는 느낌이 강했다.] 비라이브 밴드는 게임 내 악곡과 일러스트 공개, 방도리 TV나 걸파 스테이션 등 몇몇 미디어에 성우들이 출연하는 것을 제외하면 이렇다 할 활동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어왔다. 하지만 위 미디어마저도 대부분 라이브 밴드 성우들이 메인으로 출연하기에 얼굴을 비출 기회도 적은 편.[* 한 술 더 떠서 로젤리아의 극장판 2부작이 상영하고 있을 때, 방도리 TV에서는 3~4개월을 로젤리아 성우들만 출연시킨 적도 있었다. 물론 타 밴드 성우들도 게스트로 초청되긴 했다. 라이브 밴드 성우들만 가끔씩...]심지어 미디어믹스를 제외하면 활동 창구는 정기적으로 발매하는 정규 싱글뿐인데 라이브 유닛 4팀 다 정기적으로 싱글과 정규 음반 발매 일정이 업데이트되고 있음에도 비라이브 유닛 3팀만 유일하게 정규 앨범 발매 이후 1년 가까이 아무런 공지조차 뜨지 않고 있다.[* 정규 음반 발매 이후 비라이브 밴드의 음원 출시는 22년 6월 디지털 싱글 발매가 유일하며, 아티스트 타이업 곡 역시 타 밴드들처럼 디지털 음원 발매 후 추가적으로 정규 음반에 수록하거나 처음부터 실물 음반으로 발매하는 형식이 아닌 디지털 싱글로만 공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서서히 비라이브 밴드의 음반을 디지털 음원으로만 퉁치고 넘어가려는 공식의 의도가 보인다며 팬덤의 반응은 매우 싸늘한 상태.] 또한 극장판 애니메이션에서도 비라이브 밴드 홀대가 보이는데, 로젤리아는 기존 걸파 스토리로 주연인 극장판 애니메이션 2개([[BanG Dream! Episode of Roselia Ⅰ : 약속|약속]], [[BanG Dream! Episode of Roselia Ⅱ : Song I am.|Song I am.]])를 받았고 포핀파티는 [[BanG Dream! 팝핀' 드림!|팝핀' 드림!]]에서 주역이 되고 모르포니카와 라스가 적지 않은 비중을 받아서 비라이브 밴드가 제대로 출연하는 극장판은 필름라이브 [[BanG Dream! FILM LIVE|1편]]과 [[BanG Dream! FILM LIVE 2nd Stage|2편]] 밖에 없다. 이렇게 비라이브 밴드의 전개에 매우 소극적으로 나오는 공식의 태도에 불만을 가진 팬들은 오랫동안 상당히 많이 존재해 왔다. 하지만 특히 최근 수년간은 프로젝트가 과거보다는 침체된 것이 사실기 때문에, 인기가 두드러지게 많은 것도 아닌 이상 푸쉬해주기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안 그래도 인기가 많았던 과거에도 활동 창구가 가뜩이나 좁았던 비라이브 밴드였기에 20년을 기점으로 홀대 논란이 가시화되자 크게 불만이 터진 것. 그래서인지, 비라이브 밴드들의 음성만 나오는 형태의 라이브인 사운드 온리 라이브를 개최하는 등 코로나 팬데믹 상황 속에서도 어떻게든 팬덤을 붙잡으려는 시도는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렇게 홀대할 거였으면 차라리 [[D4DJ]]처럼 모든 유닛이 라이브 이벤트를 소화할 수 있는 유닛으로 만들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의견도 존재한다.][* 그래서인지 [[부시로드]]에서 기획하는 성우 라이브 중심의 컨텐츠는 어떻게든 서브 유닛들도 모조리 최소한의 라이브 활동은 할 수 있는 캐스트들을 중심으로 캐스팅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비라이브 밴드의 투자와 푸쉬는 라이브 밴드의 성공과 뒤따라오는 문제기에 팬들의 불만과 지속된 팬덤 이탈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7월 22일에는 뱅드림의 파생 프로젝트인 버츄얼 멀티 밴드 프로젝트가 공개되면서 조용하던 팬덤이 단체로 뒤집어졌다. 이는 다름 아닌 신 프로젝트 오디션 문구 때문이었는데, 바로 '''밴드지만 연주를 하지 않아도 괜찮아'''였다.[* 심지어 공개된 캐릭터들도 이렇다 할 악기를 들고 있지 않았다.]이에 대해 비라이브 밴드의 팬덤들은 '성우들이 악기 연주를 하지 않는 밴드라고 그동안 배척당해왔는데 뱅드림의 이름을 건 신 프로젝트는 라이브를 못 하는 유닛을 내새우다니 뻔뻔하다', '이럴 거면 기존 비라이브 밴드를 가지고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게 낫다' 등 극도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라이브 밴드 팬덤 측 반응이 좋냐면 그것도 아니다. 원래 있는 밴드의 활동이 점차 줄어가는 와중에 실제 성우들이 직접 악기를 연주한다는 점에 매료되어서 팬으로 남아 있는데 그러한 핵심적인 요소가 배제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비라이브 밴드의 활동창구를 충분히 넓히거나 변화시킬 여력이 되었음에도 그동안 안 했다는 반증을 공식 측이 스스로 한 셈이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im preview
angelwiki.org | Operated by LightLab |
개인정보 처리방침
| Powered by The Tree
라이트랩 | 대표자: 전노아 | 사업자등록번호: 587-16-02374 | 담당자: 호시아 니나 | 담당자 연락처:
[email protected]
| 고객센터:
문의
/
신고
clue
|
the tree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사이드바 설정
고정
숨김
우측 표시
하단 표시
내비게이션 바 고정
사용
페이지 이동 시 검색 창 초기화
사용